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드리아해 지리와 역사는 어떠한가

아드리아 해는 이탈리아와 발칸 사이에 있으며 사실상 내해와 가깝다. 아드리아 해를 아드리아만이라고 부르는 민족도 있었지만 에 트루시 아는 전형적인 민족집단이다. 이탈리아는 서쪽과 북쪽, 크로아티아,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와 동쪽이 접해 있다. 또한, 북쪽 끝에서는 슬로베니아, 남동쪽에서는 그리스 반도를 만난다. 남쪽은 이오니아 해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는 유고슬라비아 시절이 나라에 편입된 냄 덕분에 간신히 만났다. 슬로베니아는 아드리아 해와 접촉이 거의 없다. 이탈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주 긴 서쪽 해안선은 매우 단조롭지만 발칸 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짧은 동쪽 해안선은 많은 섬으로 매우 복잡하다.

 

그래서 아드리아 해에는 약 1,300개의 섬만이 흩어져 있을 뿐이다. 더구나 기후가 1년에 30도 내외로 유지되는 아드리아 해는 매우 따뜻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덕분에 예로부터 이곳에 많은 사람이 살았지만, 지금은 350만 명 정도가 바다에 의존하고 있다. 알프스 산맥에서 녹은 빙하수와 아펜니노 산맥 주변의 강에서 흐르는 물이 뒤섞여 있는 바닷속 풍경은 매우 아름답다. 더구나 중세에는 중요한 교역로였던 아드리아 해에는 중세 항구도시들이 많이 들어서 매년 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고 있다. 베니스는 코토르와 두브로브니크를 포함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이다.

 

2. 지리

윤곽에서 언급했듯이 바다는 이탈리아 반도가 발칸반도를 향해 굽어보고 수로를 막으면서 탄생했다. 뒤에 오는 바다는 이오니아 해뿐이고, 이것들조차 아주 좁은 해협을 통해 만난다. 이탈리아 아폴리아와 알바니아 지역 사이에 있는 이 해협 명칭은 아폴리아 지역의 도시 이름을 딴 오토란트 해협이다. 대부분의 기관은 이오니아 해와 아드리아 해의 경계를 오토란트 해협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국제수로연맹은 이 해협을 경계로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의 골프 섬에서 이탈리아의 마포 산타 마리아 데 루카 등대까지의 선이 경계로 보인다. 하이드로 그래픽연맹은 다시 아드리아 해를 삼등분해 관리하지만, 북부 아드리아 해와 중부 아드리아해, 남부 아드리아 해로 나뉘어 있다. 북부 아드리아 해와 중부 아드리아 해는 크로아티아 도시 자다르에서 수직으로 경계하고, 중남부 아드리아 해는 두브로브니크에서 수직으로 경계한다.

 

3. 역사

로마의 부흥 이후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바깥귀 커 왕국, 동고트 왕국,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서로마 제국의 수도는 밀라노에서 아드리아 해 북부와 연결되는 라벤나로 옮겨졌고, 이어 동로마 제국 시절 이탈리아 통치의 중심지였던 라베나 총독이 있던 동고트 왕국의 수도가 자리 잡았다. 아드리아 해 북쪽에서 동로마 제국이 철수한 이후 베니스는 아드리아 해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베니스는 중세부터 르네상스에 이르는 무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은 강력한 베네치아 공화국의 본거지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른바 아드리아 해의 여왕으로 불렸다. 오랫동안 아드리아 해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내해와 비슷했으며, 발칸 동부를 따라 베네치아 공화국의 식민지화된 도시들이 많았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왕조는 18세기에 베니스가 붕괴하고 많은 아드리아 영토가 신성로마제국에 편입된 이후 동쪽 끝의 가구사로부터 북쪽 끝의 베니스까지 아드리아 영토의 대부분을 지배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합스부르크 제국은 해체되고 동부는 새로 설립된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일부 지역은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전쟁에서 패한 후 유고슬라비아로 반환되었다. 동부 해안은 유고슬라비아 분할 이후 신흥국이 점령해 왔으며, 크로아티아는 해안선이 가장 긴 나라다.